성과
전시관
나의
강의실
온라인
교육
함께 : 톡톡
이용자
매뉴얼
원격
지원
본문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온라인교육
나의 강의실
정규과정
열린강좌
테마과정
에듀코카이야기
학습지원
기업맞춤교육지원
오프라인교육
창의인재동반
AI 콘텐츠 창작
실감 콘텐츠 창작
콘텐츠원캠퍼스
콘텐츠임팩트
콘텐츠인사이트
콘텐츠스텝업
교육 인프라
콘텐츠문화광장
공지사항
콘텐츠문화광장 소개
시설 안내
대관 안내
대관 현황
찾아오시는 길
자료실
콘텐츠인재캠퍼스
함께 : 톡톡
공지사항
FAQ
함께 : 톡톡
성과 아카이브
주요성과
콘텐츠 창의인재동반
콘텐츠 원캠퍼스
콘텐츠 임팩트
실감콘텐츠창작
AI연계콘텐츠창작
온라인교육
나의 강의실
정규과정
열린강좌
테마과정
에듀코카이야기
이벤트
콘텐츠이야기
학습지원
학습가이드
학습환경 설정
원격지원서비스
교육체계도
기업맞춤교육지원
신청안내 및 협력기관
열린강좌
Home
온라인교육
열린강좌
전체
방송영상
게임
만화/애니/캐릭터
문화일반(음악공연)
인문/경영/교양/일반
콘텐츠검수
과정검색
장르
방송영상
게임
만화/애니/캐릭터
문화일반(음악공연)
인문/경영/교양/일반
대분류
소분류
난이도
검색 입력폼
제목
강좌상세
강사명
검색
검색 건 수 :
477
건
최신순
오래된순
조회많은순
중급
촬영
하이퍼랩스, 시간과 공간을 영상에 담다! 3 - 스테빌라이저 보정작업
유창범 - Zero Motion 대표
하이퍼랩스는 오랜 시간 동안 촬영을 진행하고 상당히 많은 이동을 필요로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빛은 계속 변하고, 피사체의 앵글 또한 변하게 됩니다. 다양한 밝기의 변화 그리고 여러 가지 촬영 조건의 지속적인 변화아래 촬영을 해야 하는 하이퍼랩스 에게 보정은 필수 전략입니다. 색보정의 단계 중 플리커 보정 작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중급
촬영
하이퍼랩스, 시간과 공간을 영상에 담다! 2 - 하이퍼랩스 색보정
유창범 - Zero Motion 대표
하이퍼랩스는 오랜 시간 동안 촬영을 진행하고 상당히 많은 이동을 필요로 하는 작업입니다. 빛은 계속 변하고 피사체의 앵글 또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밝기의 변화 그리고 여러가지 촬영 조건의 지속적인 변화아래서 촬영을 해야 하는 하이퍼랩스 에게 보정은 필수 전략입니다. 색보정 단계를 알아보고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알아봅니다.
중급
촬영
하이퍼랩스, 시간과 공간을 영상에 담다! 1 - 하이퍼랩스의 특징과 이해
유창범 - Zero Motion 대표
2012년 하이퍼랩스 영상이 처음 발표된 이래 최신 촬영기법중 하나로 하이퍼랩스가 각광받기 시작했습니다. 오랜시간의 노력과 철저한 준비로 짧은 시간에 커다란 공간과 시간을 함께 담을 수 있는 촬영기법으로서의 하이퍼랩스의 특징을 살펴보고 전체 워크플로우를 안내합니다.
중급
구성 및 제작 기획
VR기획에서부터 촬영 편집까지 3 - VR 콘텐츠 Post-Production
박정우 - 서틴플로우 대표
포스트 프로덕션의 정의 및 프로세스, 관련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개 등 VR 콘텐츠 포르스 프로덕션에 대해 안내합니다.
중급
구성 및 제작 기획
VR기획에서부터 촬영 편집까지 2 - VR 콘텐츠 Production
박정우 - 서틴플로우 대표
360비디오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 솔루션의 종류, 리그들의 특성, 360 비디오 촬영 현장에 대한 이해 등 360 프로덕션 실제 제작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안내합니다.
중급
구성 및 제작 기획
VR기획에서부터 촬영 편집까지 1 - VR 콘텐츠 Pre-Production
박정우 - 서틴플로우 대표
Reality의 이해, Pre-Production의 산출물의 이해, 스토리보드와 촬영계획 작성 등 360 비디오를 만드는 프리 프로덕션 과정에 대해서 안내합니다.
초급
전략
표준계약서 3 - 대중문화예술인(배우, 가수) 방송출연 표준계약서 바로 알기
정순애 작가
구두계약 또는 자체계약서로는 대중문화예술인들의 권리의무 보호에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고, 그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중문화예술인 들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구분해줄 수 있는 대중문화예술인 방송출연 표준계약서의 주요 내용을 안내합니다.
초급
전략
표준계약서 2 - 방송영상프로그램 제작스태프(근로, 하도급, 업무위탁) 표준계약서 바로 알기
정순애 작가
방송사와 제작사의 인적, 물적 자원제공의무와 스태프의 서비스 제공의무를 명시하고, 스태프의 권리보호와 방송사와 제작사의 영상저작물이용 권리 규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송영상프로그램 제작스태프 표준계약서'의 주요 내용을 안내합니다.
초급
전략
표준계약서 1 - 방송프로그램 제작, 방영권 구매 표준계약서 바로 알기
정순애 작가
'관행'이란 이름으로 오랫동안 되풀이 돼왔던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시스템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송프로그램 제작, 방영권 구매 표준계약서’의 주요 내용을 면밀히 안내합니다.
중급
캐릭터
한눈에 살펴보는 한국 캐릭터 변천사 3 - 한국 캐릭터 산업 생태계의 구조와 혁신모형
한창완 - 세종대 교수
국내 창작캐릭터회사가 설립되면서 '기획, 창작, 제작, 배급, 유통, 소비'라는 국내 자체 생태계가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한국 캐릭터 산업 생태계 구조를 살펴보면서 캐릭터 비즈니스의 흐름과 전망에 대해 이해하고자 합니다.
중급
캐릭터
한눈에 살펴보는 한국 캐릭터 변천사 2 - 한국 캐릭터 산업의 플랫폼 변화 및 진화경로 분석
한창완 - 세종대 교수
스마트폰,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이 생겨남에 따라, 캐릭터 산업도 이에 발맞춰 진화했습니다. 특히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해외 캐릭터를 능가하는 국산 캐릭터의 자발적 경쟁력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진화경로를 분석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살펴봅니다.
중급
캐릭터
한눈에 살펴보는 한국 캐릭터 변천사 1 - 한국 캐릭터 산업의 역사적 흐름
한창완 - 세종대 교수
한국에서 미디어를 중심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캐릭터의 개념은 초기 잡지와 광고시장을 중심으로 공유되었으며, 이후 근현대화시기를 거치면서 팬시라는 개념으로 확대되는데, 이러한 한국 캐릭터 산업의 역사적 흐름과 변천사의 시대별 의의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