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전시관
나의
강의실
온라인
교육
함께 : 톡톡
이용자
매뉴얼
원격
지원
본문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온라인교육
나의 강의실
정규과정
열린강좌
테마과정
에듀코카이야기
학습지원
기업맞춤교육지원
오프라인교육
창의인재동반
AI 콘텐츠 창작
실감 콘텐츠 창작
콘텐츠원캠퍼스
콘텐츠임팩트
콘텐츠인사이트
콘텐츠스텝업
교육 인프라
콘텐츠문화광장
공지사항
콘텐츠문화광장 소개
시설 안내
대관 안내
대관 현황
찾아오시는 길
자료실
콘텐츠인재캠퍼스
함께 : 톡톡
공지사항
FAQ
함께 : 톡톡
성과 아카이브
주요성과
콘텐츠 창의인재동반
콘텐츠 원캠퍼스
콘텐츠 임팩트
실감콘텐츠창작
AI연계콘텐츠창작
온라인교육
나의 강의실
정규과정
열린강좌
테마과정
에듀코카이야기
이벤트
콘텐츠이야기
학습지원
학습가이드
학습환경 설정
원격지원서비스
교육체계도
기업맞춤교육지원
신청안내 및 협력기관
열린강좌
Home
온라인교육
열린강좌
전체
방송영상
게임
만화/애니/캐릭터
문화일반(음악공연)
인문/경영/교양/일반
콘텐츠검수
과정검색
장르
방송영상
게임
만화/애니/캐릭터
문화일반(음악공연)
인문/경영/교양/일반
대분류
소분류
난이도
검색 입력폼
제목
강좌상세
강사명
검색
검색 건 수 :
477
건
최신순
오래된순
조회많은순
고급
만화
지능형 웹툰 제작 노하우 - Chapter 1
하일권(웹툰 작가), 한창완(세종대 교수)
AR, VR 가상현실 기술이 만화에 적용되어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지능형 웹툰’인 하일권의 <마주쳤다>, <고고고>의 제작 과정 설명을 통해 주요 Point를 알아보고자 한다.
초급
이펙트/애니메이션/영상
게임 트레일러 제작 - 포스트 프로덕션
김영훈 (소프트닉스 과장)
영상의 색 보정, 특수효과의 합성, 장면 내 텍스트 추가, 음향 등 게임 트레일러 제작의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작업들을 하는지 알아본다.
초급
이펙트/애니메이션/영상
게임 트레일러 제작 - 제작단계
김영훈 (소프트닉스 과장)
게임 트레일러를 제작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각 방식으로 트레일러를 제작할 때 어떤 작업 과정을 거쳐야하는지 알아본다.
초급
이펙트/애니메이션/영상
게임 트레일러 제작 - 기획단계
김영훈 (소프트닉스 과장)
게임 트레일러를 제작하는데 있어 ‘무엇을 보여줄지, 무엇으로 어필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기획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포인트와 그 준비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한다.
중급
계약
자신 있게 체결하는 게임 퍼블리싱 계약 - 지식재산권과 데이터베이스의 귀속
황혜진 (법무법인 디라이트 변호사)
게임의 개발 및 퍼블리싱 과정에서 생겨나는 지식재산권의 귀속관계를 알아보고, 퍼블리싱 종료 이후 개발사가 게임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귀속을 규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급
계약
자신 있게 체결하는 게임 퍼블리싱 계약 - 수익의 분배와 비용의 부담
황혜진 (법무법인 디라이트 변호사)
게임 콘텐츠의 수익 분배 및 비용 부담에 관한 조항들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분쟁들을 예방하고자 한다.
중급
계약
자신 있게 체결하는 게임 퍼블리싱 계약 - 단계별 각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
황혜진 (법무법인 디라이트 변호사)
퍼블리싱 단계에서 게임 개발사와 퍼블리셔 양 당사자의 권리 및 의무, 범위와 기한을 규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급
계약
자신 있게 체결하는 게임 퍼블리싱 계약 - 퍼블리셔의 권한 범위 설정하기
황혜진 (법무법인 디라이트 변호사)
라이선스 계약의 일반적인 구성을 알아보고, 퍼블리셔가 보유하는 사업권, 서브라이선싱권 등 권한의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급
데이터분석
로그분석 - 분석 실습
박지현 (오락 대표)
커스텀 지표의 필요성과 사용 예시,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분석 과정을 실습해 본다.
초급
데이터분석
로그분석 - 설계 실습
박지현 (오락 대표)
주요 지표를 측정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주요 지표 항목의 일반적인 보고 형식을 제공한다.
초급
데이터분석
로그분석 - 지표의 종류
박지현 (오락 대표)
지표 활용의 목표를 이해하고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주요 지표 항목들을 소개한다.
초급
데이터분석
로그분석 - 지표의 필요성과 정의
박지현 (오락 대표)
지표의 기본 개념과 더불어 지표를 얻는 과거의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의 디지털 방법을 비교 분석을 통해 지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