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모델러는요 배경 모델러가있고 캐릭터모델러로 나눠져있는데요 말 그대로 배경모델러는 원화를 보고 그대로 만들어줘서 게임의 세계관에 맞게끔 모델링을 만들어주는걸 배경 모델러라고 하구요 원화모습을 보고 세계관에 맞춰서 원하는 캐릭터를 만들어주는 것을 캐릭터 모델러라고 합니다.
(자막)
김상중교수
청강산업대학교 게임전공 교수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
경력: ㈜ SK아이미디어 팀장
㈜엔씨소프트 과장
개발: K Apps 앱 콘텐츠 개발(2011~2012)
온라인 FPS 게임 제작 ‘싸이키델릭 문’(2008)
온라인 FPS 게임 제작 ‘아인벨드’(2007) 외 다수
(자막)
게임 그래픽 직업의 이해 3
-게임 모델러(캐릭터,배경)
이번에는 게임 모델러 직군에 대해서 말씀 드릴건데요. 게임 모델링을 만드는 사람을 모델러라고 해요. 게임 모델러 안에는 캐릭터모델러가 있고 배경모델러가 있습니다.
배경모델러 안에서 프랍이라던지 소품같은거 만드는 것이 있고요, 건물만드는게 있고요 , 도로를 만드는 터레인이라고 표현하는데요, 도로라던가 전체적인 지형을 만드는 게 이렇게 나눠져있지만 그것을 통틀어서 일단은 배경 모델러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캐릭터 모델러 같은 경우는 그 역할은 말 그대로 원화에서 나왔던 그림을 똑같이 받고 세계관에 맞게끔해서 그 원화가 그려졌던 원화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서 모델링을 만들어주는거예요. 쓰리디 게임이기 때문에 쓰리 디멘션 삼차원 쪽으로 턴어라운드 다 돌려서 볼 수 있을 정도로 툴에서 만드는 거죠. 그래서 쓰리디 틀에서 모델링 원화에 관련된 것을 만드는 게 그 역할이구요. 그리고 그 안에서 그 업무는 캐릭터 모델링도 조금 더 나눠집니다.
그 다음에 엠피씨라고 하죠. 넌플레이어캐릭터 그냥 움직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을 엠피씨라고 하거든요. 그렇게 움직이는 캐릭터 따로 만드는사람 있고 진짜 캐릭터 아니면 몬스터 요즘은 이렇게 엠엠오알피지같이 대형적인 게임에서는 세부적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그래서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말 어떠한 감각을 키우셔야 되냐면 요, 어떤 정말 많이 보셔야되요. 그다음에 이것들을 영화든 게임이든 애니메이션이든 만화든 닥치는 대로 보셔야 되고 실제로 사람들조차도 굉장히 많이 연구하셔야되요. 사람들이 보면 골반위치만 보더라도 맨 밑에 있는줄알고 골반위치를 잘 못 찾아요. 사람 몸에 보이는 것과 뼈의 구조도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물론 캐릭터 모델러가 되려면 원화가 못지않게 아나터미 안에 있는 신체구조를 아셔야되요. 근육구조라던지 뼈구조라던지 그다음에 흐름이 있어요. 그 안에 움직이는 선들이 있거든요 쓰리디에서는 점은 버텍스라고하고 점들이 연결되어있는 부분을 세그먼트라고 하는데 세그먼트가 그냥 일직선으로 있으면 안되고요. 얼굴도 마찬가지에요. 일직선으로 만들면 모양 만드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그다음단계로 넘어가는 애니메이션파트에서는 애니메이션을 할 수가 없어요. ‘아’할 때 얼굴이 깨져버리거든요. 그래서 실질적으로 진짜 사람의 근육구조같이 흐름대로 모델링을 하게되어있어요. 눈에 근육이 되어있고 입주 위가 근육이 돼 있으니깐 똑같이 모델링도 다 나눠서 근육구조에 맞춰서 모델링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모델링을 잘 만드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것을 배워야 되는데요. 일단 모델링을 잘하시려면 투디스킬의 정물화를 잘그리셔야되요. 인물화가 되던 굉장히 정적으로 세밀하게 그릴능력이 있으신 분들은 일단 캐릭터모델러가 되는데 금방 됩니다. 그다음에 캐릭터모델러과 하기위해서는 본의 아니게 쓰리디애니메이션이나 쓰리디게임을 만들기 때문에 쓰리티틀을 다룰 수 있어야되요. 쓰리디툴에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게임업게에서는 쓰리디 스튜디오 맥스라는게 있고요 애니메이션부분에서는 마야라는 것이 있습니다. 물론 쓰리디툴에는 소프트이미지도있구요. 라이트웨이브도 모 기타 등등 굉장히 많이 있는데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게 게임 쪽은 쓰리디 스튜디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현제 2013버전까지 나와있구요. 그래서 여러분들이 실질적 투입을 하셔야되구요. 또 모델링을 하다보면 사람이 옷을 입은 것처럼 랩핑 전문용어로 랩핑이라고 하는데 옷을 입히는 색깔까지 해주셔야되요. 그럼 이걸 어떻게 해줘야 되느냐 포토샵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야합니다. 아까 원화도 오프라인 바깥에서 종이에다 그리셔서 스캔 받아서 디지털로 받아서 그 색칠하는걸. 하는데 포토샵에서 하듯이 마찬가지고 모델링 하는 것도 똑같네요. 포토샵이라는 툴을 사용합니다. 그 투란에서 굉장히 색깔도 옷 질감도 얼굴표정도 수염까지 썹하나까지 다 그려서 이렇게 얼굴에 집어넣습니다. 요즘은 랩핑 소스라고 하는데요. 그런 것들이 잘 나와 있어서 잘 갖춰서 가공해서 잘 입히는 작업도 하고 있는데요. 굉장히 생각보다 재밌고 즐겁습니다.
또 한 가지 툴이 있어요. 요즘 굉장히 디테일한 세부적인 것을 나타내고 싶은데 게임은 한정적인 곳에서 움직이려면 어느 정도까지 최적화 너무 많은 점들이 있는 버텍스라던가 세그먼트가 있으면 안 돼요. 그러다보니깐 어떠한 기술이 나왔냐면요 지브러시 브러시 인데 지 뎁슬 나타내는 지값에 브러시 머드박스라는게 있고 이건 2.5디에요. 투디도 아니고 쓰리디 중간사이 그래서 2.5디에서 그림을 찰흙을 마치 빗듯이 펜으로 전체적인 주름같은걸 다 그릴수 있어요. 그래서 거기서 추출해서 폴리곤에 있는 몸에 있는것들을 부착시키면 예를들자면 500만 폴리곤의 그런 느낌을 만폴리곤안에서 보여줄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그런것까지 배우셔야 됩니다.
그 다음에 인제 배경모델러라는게 있어요. 배경모델러는 아까 말씀드렸다싶이 소품을 만드는 프랍도 있구요 그냥 통틀어서 말씀드릴꼐요. 배경모델러같은경우는 그안에 원리는 똑같에요. 캐릭터랑 랩핑해야되구요. 원화에서 본 것을 그대로 옮겨야되요. 쓰리디 건물로 쓰리디 물건으로 쓰리디 전체적인 배경으로 산이되고 나무되고 다 그런것들으 만들어야 되요. 그래서 전문적으로 배경모델러중에서도 건축모델러가따고있구요 자연모델러가 따로있어요. 물론 다 같이 만드는데 전문적으로 나누면 훨씬 디테일하고 세부적인 큰 프로젝트를 하는곳에선 나누지만 작은곳에서는 다 같이 만들고 있습니다. 쓰리티 툴에서요 관련된 랩핑을 집어넣구요. 그다음에 색깔과 모든 것을 다 집어넣은 상태에서 아까 말햇던 지브러시라던가 로우폴리곤안에서 하이폴리곤 다 만들수가 있어요. 라이트를 집어넣었을 때 라이트를 잘나오게 해주는 라이트맵이라던가 전문적인 부분이 있거든요. 이런 것들을 잘하고 싶으시면 원화랑 비슷하긴 한 대요 굉장히 많이 그려보셔야되요. 캐릭터모델러는 사람 굉장히 많이 그렸다면 배경쪽은 배경쪽을 정말 많이 그려보셔야되요. 구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전문용어로 퍼스펙티브라고 하는데 원금감에 관한 부분을 쓰리디로 원화의 원금감을 보고 실제로 만듯야되요. 여기서도 마찬가지 똑같아요. 게임은 쓰리디 스튜디오 멕스, 애니메이션은 마야. 이제 본인이 어느방향에 가느냐에 따라 고투를 다루셔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 배경과 애니메이션에대해 말씀해 드렸는데 지금모 만약에 취업을 하시고 싶고 나는 자라서 캐릭터모델러가 될 거야 하신다면 지금부터 정말 낙서를 많이 하시면서 쓰리디툴로 바로 들어가지 마세요. 많은 사람들이 바로 쓰리디로 들어가는데 토이스토리고 픽사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스티브잡스가 만들었던 여러분들이 알고있는 모든 유명한 애니메이션을 갖고있는 회사인데 그 회사는요. 쓰리디 기술을 가진사람은 뽑지 않아요. 투디 그다음에 정물화라던가 순수 미술을 해야지만 그회사를 들어갈수있어요. 그래야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될수 있어요. 우리나라는 그만큼 그만큼 기초가 중요하나는 애기예요. 그냥 열심히 그냥 옆에 있는 그림을 똑같이 만들어 내면요 솔직하게 너무나 영혼이 빠진 껍데기가 만들어지는 사람들 중에서 영혼이 없고 그게 몬지 아세요? 좀비 같은 모델링을 만들게 되는 거죠 그게 캐릭터든 배경이든 그러니까 여러분이 훌륭한 모델러가 된다고 되시면 기초부터 탄탄히 쌓으시면 충분히 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01. 이 강좌에 대해서
게임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동시에 게임 그래픽 직업군에 대한 수요도 날로 늘고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게임 그래픽과 관련하여 다양한 직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게임의 세계관에 맞춰 모델을 만들어 내는 <게임 모델러>에 대해 알아봅니다.
2차원의 원화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배경 모델러'와 진짜보다 진짜같은 캐릭터를 모델링하는 '캐릭터 모델러'의 역할과 필요한 역량에 대해 들어보실 수 있습니다.
02. 강사 소개
김상중
03. 강사 이력
[김상중] - 청강산업대 게임전공 교수 - 전 SK아이미디어 팀장 - 전 엔씨소프트 과장 - 홍익대 미술학 박사
개발 경력으로는 K-Apps 앱콘텐츠(2011~2012), 온라인 FPS게임 '싸이키델릭 문'(2008), '아인벨드'(2007) 등이 있음.
-